전체 글128 제5장 보호구 및 안전표지 건설안전기사 정보공유를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제 기준에 있어서 기사준비와 실제 현장에 종사하였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만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내용은 직접 교재를 구매하시거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안전모 1) 안전모의 종류 종류(기호) 사 용 구 분 A 낙하 및 비래방지용 B 추락방지용 AB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방지용 AE 낙하 및 비래/감전방지용(내전압성) ABE 낙하 및 비래/감전/추락방지용(내전압성) 2) 안전모의 성능시험 항목 - 내관통성 시험 - 충격흡수성 시험 - 내전압성 시험( AE / ABE ) - 내수성 시험( AE / ABE ) - 난연성 시험 3) 보안경 - 보안경의 종류( 노동부 고시 ) 종 류 사 용 구 분 재 질 차광안경 - 자외선 및 적외선, 강렬한 .. 2023. 1. 28. 제4장 안전점검 및 작업분석 건설안전기사 정보공유를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제 기준에 있어서 기사준비와 실제 현장에 종사하였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만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내용은 직접 교재를 구매하시거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안전점검 1) 안전점검의 종류 1> 수시점검: 작업 전/중/후에 실시하는 점검 2> 정기점검: 일정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점검 3> 특별점검 - 기계/기구/설비의 신설시/변경내지 고장수리시 실시하는 점검 - 천재지변 발생 후 실시하는 점검 - 안전강조기간 내에 실시하는 점검 4> 임시점검: 이상 발견 시 임시로 실시하는 점검, 정기점검과 정기점검 사이에 실시하는 점검 2) 체크리스트 포함사항(작성 항목) 1> 점검대상 2> 점검부분(점검개소) 3> 점검항목(점검내용: 마모 / 균열 .. 2023. 1. 25. 제3장 재해조사 및 통계분석 건설안전기사 정보공유를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제 기준에 있어서 기사준비와 실제 현장에 종사하였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만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내용은 직접 교재를 구매하시거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재해조사의 목적 및 순서 1) 목적: 동종재해 및 유사재해의 재발방지 2) 순서 - 현장확인 > 목격자 및 관계자 진술 > 자료수집 > 검증(사고의 실연 검증) - 분석평가 > 재확인 2. 재해발생시의 조치사항 1) 산업재해의 발생 2) 긴급처리 - 1순위: 피재기계의 정지 및 피해확산 방지 - 2순위 : 피해자의 응급조치 - 3순위 : 관계자에게 통보 - 4순위 : 2차 재해방지 - 5순위 : 현장보존 3) 재해조사 4) 원인강구 - (직접원인) - 사람 / 물체 - (간접원인) - 관.. 2023. 1. 25. 제2장 안전관리체계 및 운영 건설안전기사 정보공유를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제 기준에 있어서 기사준비와 실제 현장에 종사하였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만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내용은 직접 교재를 구매하시거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안전관리 조직의 형태 1) 라인(Line) 조직형 - 직계식 - 계획에서 실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권한이 포괄적 / 직선적으로 행사됨. -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100명 이하) 1-1) 장점 - (*안전지시 / 개선조치 등) 지시나 조치가 철저 & 실시가 빠르다 -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 뿐이므로 간단명료 1-2) 단점 - 안전에 대한 정보 불충분 / 내용 빈약 - 생산업무와 같이 안전대책이 실시되므로 불충분 - 라인에 과중한 책임을 지우기 쉬움 2) 스탭(Staff)형 - 참모식 - 안.. 2023. 1. 24. 제1장 개요 건설안전기사 정보공유를 하지만, 해당 내용은 제 기준에 있어서 기사준비와 실제 현장에 종사하였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만 작성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내용은 직접 교재를 구매하시거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안전관리(정의) : 재해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존하기 위한 계획적/체계적인 제반 활동 2. 안전(정의) > 내용은 직접 찾아보기! 1) Webster 사전에 의한 안전의 의미 2) 하인리히(H.W.Heinrich)의 안전론 3) 버크호프(H.O.Berckhofs)의 안전론 3. 상해종류에 의한 분류 골절 뼈가 부러진 상해 동상 저온물 접촉으로 생긴 동상 상해 부종 국부의 혈액순환 이상으로 인해 몸이 퉁퉁 부어오르는 상해 찔림(자상) 칼날 등 날카로운 물건에 의해 찔린 상태 타박상 .. 2023. 1. 18. 2022년 10월 재해사례(건설)_(2) ◆ 2022. 10. 14. 흙막이 가시설 해체 작업 중 추락사고 흙막이 가시설 해체작업 중 재료간에 연결되어 있는 볼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재료 상부에 있던 작업자가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 > 해당 사고사례와 같이 흙막이 가시설 뿐만 아니라 거푸집 해체 및 비계 해체 등 해체에는 순서가 있습니다. 그리고 작업자 간의 호흡이 맞아야 하며, 작업 중에는 소음으로 인해 소통이 쉽지 않으나 해당 작업 구역에 관리자 배치를 한다던지 추락에 대한 대비를 해야만 합니다. > 떨어짐 높이: 3m이상 ~ 5m미만 > 재발방지대책: 해체 작업 교육 실시 / 안전시설물 점검 및 보완 등 ◆ 2022. 10. 16. 입장면 신두리 물류창고 공사현장 사망사고 파일공사를 위해 항타기 임시보관차가 하차작업 중에 케이싱 강.. 2023. 1. 1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